1991년, 인촌 김성수 전 부통령 ‘탄신 백 주년 행사’ 때 전통 제례에 참석했던 김수환 추기경께 기자가 물었다.
“가톨릭 수장되시는 분이 어떻게 음식이 차려진 제사상 앞에 서 목례도 아닌 무릎을 꿇고 우리식 큰절을 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추기경께서 답하셨다.
“왜요? 이상합니까? 이건 우리 문화잖아요. 문화와 종교를 혼동해서는 안 되지요. 전통문화는 문화로서 존중되어야 합니다.”
나는 그때의 신문기사를 읽고 추기경님의 열린 시각에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법정 스님께서도 어떤 종교에 대해서나 열린 눈을 가지셨다. 춘천 교구장 장익(전 장면 총리 실제) 주교님과는 유럽의 가톨릭 성지를 함께 여행하실 정도로 오랜 교분이 있으셨다. 평소에도 프란치스코 성인의 삶에 대해 자주 거론하셨고 그뿐 아니라 사막의 교부들 일화, 랍비와 탈무드, 힌두교의 시, 크리슈나무르티가 쓴 <마지막 일기> 등의 책을 우리들에게 권하기도 하셨다.
1997년 12월 10일, 길상사가 개원하던 날, 당시의 일화는 워낙 언론의 주목을 받았기에 새삼 그 일을 거론코자 함이 아니다. 다만 그날 길상사 법당 안, 부처님 정면 가운뎃줄, 맨 앞자리에 추기경님과 법정 스님이 나란히 앉아 계셨던 ‘한 폭의 인물화’를 잊지 못할 뿐이다.
그 후 일년 뒤 ‘명동 성당 축성 백 주년 기념미사’ 자리에 이번에는 추기경께서 법정 스님을 초청하셨다. 불교 승려가 한국의 대표 성당 기념미사에 초대되어 천주의 제단 앞에서 법회를 주관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두 분의 교분은 이미 1970년대 군사독재와 함께 싸우실 때 법정 스님의 <무소유> 책을 읽으신 추기경께서 “이 책이 아무리 무소유를 말해도 이 책만큼은 소유하고 싶다”고 극찬하시기 훨씬 이전부터 늘 함께해오셨다.
2005년 5월 15일 부처님 오신 날.
맑고 향기롭게 가족들은 결코 잊을 수 없는 날로 기억될 것이다. 부처님 오신 날을 축하해주기 위해 추기경께서 또 길상사를 찾아주신 것이다. 이번에는 아예 신부님, 수녀님들까지 무려 40여 명의 사제단을 이끌고 마치 길상사를 접수(?)하러 오시는 듯한 착각이 들 정도로 대가족이 찾아준 것이다.
길상사 경내에 있던 수많은 불자들은 일제히 환호하며 기립박수를 보냈고 두 분은 또다시 뜨겁게 손을 잡으셨다.
이날 봉축 음악회 자리에는 개신교 가수 임형주 씨의 ‘아베 마리아’가 있었고 이해인 수녀님의 부처님 오신 날 봉축 시 낭독도 있었다. 원불교 박청수 교무님도 오셨고, 가수 김수철 씨가 부른 스스로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회한의 노래 ‘황천길’도 있었다.
성북구 성북동은 특이한 동네다. 주한 외국 공관들도 많지만 ‘한국의 바티칸’이라 불리울 만큼 천주교 단체와 시설들이 유별 많은 동네다. 그곳에 길상사가 있다는 인연도 우연의 일치일까? 그래서 이날 길상사에 들어온 시주금 전액은 근처에 있는 천주교 사회복지 시설인 ‘성가정 입양원’에 쌀 뒤주만한 시주함이 통째로 다시 시주되는 뜨거운 우정도 있었다. 주고도 즐겁다. 그래서 ‘나누는 기쁨’인 것이다.
서로의 종교가 하나 되는 행사 내용도 감동이었지만, 두 분이 나란히 앉아 이따금 담소를 나누는 모습은 두고두고 잊지 못할 백미의 작품이었다. 그러나 두 분 다 건강에 문제가 있어서일까, 저 두 분이 과연 언제까지 살아 계실 것인지…… 기쁨과 환희가 넘쳐야 할 자리에 도리어 가슴이 아리고 먹먹해졌다. 돌아가신 성철 종정께서 오래전 신년 법어에 ‘법당에 아멘 소리, 예배당에 염불 소리’의 발원을 지금 추기경과 스님께서 나란히 주관하고 계신 것이다.
불교식으로 말한다면 두 분은 ‘마음의 현상이 곧 우주의 현상’임을 일찍이 깨친 아라한들이다. 그런 능력과 서원으로 평생 중생계를 위해 슬픔, 독재, 폭력, 재난, 민심, 불의, 갈등, 분규들로부터 우리 사회를 토닥거리고 이끌어주셨던 희생의 등불이었다.
왜 우리는 평소에 이처럼 살 수 없는 걸일까 왜 우리는 타종교를 디딤돌이 아니라 걸림돌로 보려 하며, 서로가 경직되어 다름에 대한 배려를 못 하는 것일까. 왜 우리는 타종교를 친구가 아닌 박멸의 대상으로 보려 하며 ‘하느님은 사랑이다’와 ‘자비심이 곧 부처’라는 동의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일까.
필자만의 괴벽이겠지만 ‘베풀라’는 말보다 ‘바치라’라는 말을 많이 하는 종교, 나와 다른 종교를 이웃으로 보지 않고 공격의 대상으로 규정하는 종교, 다른 산오름은 절대 인정하지 않고 정상에 오르는 길은 오직 하나뿐이라고 독선을 가르치는 종교가 아직도 존재한다는 말을 들을 때면 까닭 없는 비애감에 젖기도 한다.
2005년 ‘부처님 오신 날’은 ‘나무아미타불’과 ‘아베마리아’가 맑고 향기롭게 만나는 날이었다. 그 어느 해 부처님 오신 날보다 오늘의 이 감동을 보기 위해 나는 꼭두새벽부터 달려왔으며, 평생 잊지 못할 화상이 되어 내 기억의 바다에 떠 있을 것이다.
세세년년, 이렇게 살자고 발원해본다. 나무 아멘.
*출처 : 『맑고 향기롭게』(2020)
'다양한 세상 이야기 > 좋은 글 따뜻한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 <고통은 완성을 위한 시련> (0) | 2023.03.14 |
---|---|
변택주, <예배와 염불은> (0) | 2023.03.12 |
법정, <구도의 길> (0) | 2023.03.09 |
법정, <지금 있는 바로 그 자리> (2) | 2023.03.08 |
법정, <선문답> (2)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