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이란 어떤 감정일까? 사전적 정의로는 이렇다. 외로움은 홀로 되어 쓸쓸한 마음이나 느낌이다. 그렇다면 의학적으로는 어떤 감정일까? 사회적으로 소외감을 느낄 때, 실제로 뇌에서 통증을 느끼는 부분이 활성화된다고 한다. 즉, 외로울 때에는 뇌에서 고통을 관장하는 부위가 신체적 고통과 똑같은 아픔으로 느껴진다고 한다. 또, 외로움을 1년 이상 만성적으로 느끼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외로움이란 감정은 만성적으로 느낄 수도 있고, 지나가는 바람처럼 잠시 스쳐 지나갈 수도 있다. 잠시 스쳐 지나가는 바람이라면 외로움은 그다지 우리에게 큰 위협이 되지 않지만, 외로움이 만성적으로 나를 억누르고 있다면 그것은 큰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우리 일상에 늘 존재하는 외로움이라는 감정, 우리는 이 감정을 어떻게 해소하고 있을까?
첫번째는 술이다. 아마 한국인처럼 술을 많이, 자주 마시는 민족은 없을 것이다. 한국인들은 즐거워도 술을 마시고, 기분 나쁜 일이 있어도 술을 마신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술을 가장 많이 마시는 나라 중 하나인 것이다. 우리나라 알코올 중독자가 전체 인구의 22%에 달할 정도로 한국인은 술이 없으면 못 사는 민족인 듯하다. 술은 맥박과 호흡을 빠르게 해 우리의 기분을 좋게 만들고, 들뜨게 만들어 쉽게 흥분하게 만든다. 그렇지만 자신의 주량 이상의 술을 마시게 되면 술은 나를 공격하는 무기가 된다. 술로 인해서 싸움이 자주 일어나며, 술로 패가망신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외롭다고 해서 술을 찾는 것을 나는 권하지 않는다. 나도 20, 30대에, 그리고 얼마 전까지만 해도 매일 술에 쩔어 살았기 때문에 알코올이 끼치는 해악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나는 알코올 중독의 수준까지 갔었다. 그래서 금주를 하면 손이 떨리고, 몸에서 술을 마시고 싶어 견딜 수 없었다. 그 당시 나는 외로워서, 쓸쓸해서 술을 마셨는데, 감정에 휩쓸려 술에 의존하게 되니, 정말 몸과 마음을 다 망쳐 버렸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다. 술은 절대 외로울 때 마시지 말라. 술에게 나 자신을 노예로 바치는 꼴이다.
두번째는 노래와 영화 감상이다. 노래와 영화 감상은 감정을 차분하게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된다. 나 같은 경우는 뉴에이지 음악이나 차분하고 잔잔한 음악을 들으면서 외로움보다는 차분함을 느끼려 노력했다. 영화는 슬픈 영화를 주로 보았는데, 감정이 복받쳐 눈물을 펑펑 쏟고 나면 그렇게 개운할 수가 없었다. 이것을 카타르시스라고 하는데, 이럴 때는 슬픔이 오히려 줄어들면서 감정을 해소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런데 외로움이 극에 달했을 때에는 노래와 영화 감상도 소용이 없다. 오히려 슬픈 노래는 내 마음을 더 아프게 하고, 슬픈 영화는 짜증이 날 때가 있다. 이럴 때는 명상을 하면서 자신의 마음을 차분하고 냉정하게 바라보는 게 필요하다. 감정은 언제나 나를 끌고 다니려고 하기 때문에 감정의 노예가 돼서는 외로움을 빠져나올 수가 없다.
세번째는 친구를 만나서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혼자 덩그러니 방 안에 남아서 외로움을 곱씹는 것보다 밖에 나가서 친구들을 만나 재밌게 수다를 떠는 것이 외로움을 탈출하는 데 효과적이다. 사람이나 동물은 혼자 있으면 외로움을 느끼기 십상인데, 이럴 때 주변에 다른 사람이나 동물이 함께 있으면 외로움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집에 반려견 한 마리가 있는데, 이 반려견이 혼자 있을 때면 외로움을 많이 타서 사료도 잘 먹지 않고 계속 말라간다면 분리불안장애나 애정결핍을 의심해 봐야 한다. 그럴 때 반려견 한 마리를 더 분양해서 서로 친구가 되게 해 준다면 그것보다 더 좋은 해결책은 없을 것이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카페나 식당에서 모이거나 집으로 초대해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서 일상을 이야기하고, 누군가를 험담하기도 하고, 서로를 위로해 주자. 그렇다면 당신의 외로움은 벌써 저만치 멀리 달아나 있을 것이다.
네번째는 잠을 자는 것이다. 번아웃 증후군이나 무기력증에 걸린 사람들을 보면 자신에게 무슨 감정이 느껴지거나 피로감이 몰려오면 무조건 잠을 자려고 한다. 잠을 자는 것은 잠시 나의 몸을 재충전하는 걸로 보일 수 있지만, 잠을 잔다고 해서 외로움이 완전히 잊히는 것은 아니다. 잠을 자고 일어나면 또다시 나는 외로워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럴 때에는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거나 욕조에 따뜻한 물을 받아놓고 반신욕을 하면 피로가 사그라들면서 기분도 한결 나아질 것이다. 족욕도 혈액순환 개선이나 기분 개선에 좋다.
다섯번째는 고독을 즐기는 것이다. 독일의 저명한 신학자였던 폴 틸리히는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우리 언어는 현명하게도 혼자 있음의 두 측면에 각기 다른 단어를 남겼다. 혼자 있음의 고통에 대해서는 외로움이라는 단어를, 혼자 있음의 영광에 대해서는 고독이라는 단어를."
혼자 있는 게 힘들고 자신을 점점 파괴한다고 느껴진다면 이런 상태로부터 빨리 벗어나는 게 좋겠지만, 혼자 있음으로써 새로운 상상력이 솟아나고 창조의 에너지를 끌어올릴 수 있다면 오래 머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즉, 혼자 있는 상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그것에서 새로운 에너지나 생산성을 발견하라는 것이다. 우리는 외로워 죽겠다고 하지만, 외로워서 좋다라고 하는 사람은 드물다. 자, 이제 생각의 전환을 해 보자. 혼자 있을 때 우리는 수많은 것들을 할 수 있지 않은가. 평소 시도해 보지 않았던 취미를 가져 보거나 여행을 가 보는 것이 어떤가.
<파우스트>를 쓴 독일의 대문호 괴테는 이런 말을 남겼다.
"영감을 받는 것은 오로지 고독 속에 있을 때만 가능하다."
'제갈해리의 이야기 > 오늘의 한마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필 사진 (0) | 2023.04.21 |
---|---|
만 원의 행복 (0) | 2023.03.30 |
착한 거짓말 (0) | 2023.03.28 |
당신도 이불킥의 순간이 있었나요? (0) | 2023.03.25 |
입동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