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세상 이야기/좋은 글 따뜻한 마음

변택주, <쓰던 말을 버리고>

728x90

불교는 자비로운 종교, 기독교는 사랑스런 종교라고 말한다. 자비와 사랑은 다르지 않다. 자비 ‘자’는 우리말로 ‘사랑’으로 새긴다. 그런데 이 말을 그저 추상명사 사랑으로만 이해하면 어떻게 하는 것이 사랑인지 종적이 막연해진다. 불교에서 말하는 자는 팔리어 ‘우정’에서 온 말이다.

우정은 무엇인가? 평등이자 연대, 함께함이다. 어우렁더우렁 행복한 관계에서 나오는 순정한 마음이다. ‘비’는 무엇인가? 나 아닌 목숨붙이 불행을 진심으로 아파하는 것이다. 예수는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했지만, 사랑해야 할 원수마저도 없는 것이 사랑이고 자비다. 이 자비심 바탕 위에서 부처님은 자신이 이제껏 써온 익숙한 말을 버리고 서민들이 흔하게 쓰는 말로 말씀하기 시작했다.

부처님이 자신이 쓰던 상류사회 말을 버리고 듣는 사람 말로 설법한 뜻에는 대체 무엇이 있을까? ‘중도’다. 부처님은 중도를 여러 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우리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다. 그것은 “내 가르침 내 진리는 누구라도 여기 이 자리에서 이해할 수 있고, 실현되며 증명할 수 있다.”는 말씀이다. 이 자리에서 이해할 수 없는 것은 그것이 아무리 심오한 진리라 하더라도 필요 없다는 말씀이다. 이해할 수 없고, 실현될 수 없고, 증명할 수 없는 것은 내 가르침이 아니다. 그것은 불교가 아니라는 말씀이다.

중도라는 말속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지만, 그 말은 지금 여기 현장, 주체, 역동성을 갖고 있는 개념이다.

지금 여기 내 삶 주체는 누구인가. 나 자신이다. 그러면 내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뭘까? 목숨이다. 지금 여기 내 목숨이 살아 있지 않다면, 그 어떤 것도 내게 의미가 없다. 내 목숨이 살아 있을 때만 이 세상은 내게 존재 의미가 있다. 지금 여기 내 목숨이 살아 있을 때만 우리는 정치도, 종교 활동도, 사랑도 할 수 있고, 꿈도 가질 수 있고, 또는 자유, 정의, 평화도 모색할 수 있다. 그러니까 이 세상에서 가장 절실하게 중요한 가치는 내 목숨이다. 어떤 것도 내 목숨보다 더 앞서는 가치는 없다. 이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진보와 보수, 기독교, 불교, 자본가, 노동자, 남녀노소, 누구도 예외일 수 없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든지 누구라도 뒤돌아서서 사전을 찾아보거나 물을 것 없이 여기서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쉬운 말, 서민들 말로 법을 설한 것이다. 나보다 네게 맞춘 맞춤서비스이다.

법정 스님은 운허 스님과 함께 불교 사전을 편찬하시고, 동국역경원을 개설해 서울 봉은사에 주석하시면서 대장경 번역을 하고, 초기 경전인 <숫타니파타>, <진리의 말씀>을 고운 우리말로 누구나 정겹게 시를 대하듯이 읊고 외울 수 있도록 번역을 하셨다. 그와 함께 대중 매체에 기고를 통해 부처님 말씀을 누구나 접하고 따를 수 있도록 많은 애를 쓰셨다. 이 모두가 해인사 시절 어느 여인이 장경각에서 내려오면서 법정 스님에게 대장경판이 어디 있느냐고 물은 데서 비롯된다. 스님이 장경각에서 내려오면서 보지 못했느냐고 되묻자. ‘아, 그 빨래판 같은 거요?’ 했다. 그때 스님은 빨래판에 새겨진 진리를 누구나 마주 해서 깨달음에 이르게 하려는 대자비심을 일으키셨다.

스님 법문을 들어 본 사람이나 스님 책을 읽은 이들은 다 알다시피 스님은 귀가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알아듣기 쉬운 말로 법문을 하신다. 그런 스님 뜻을 받들어 길상사 법회에 동참을 해 본 이들이면 아는 일이지만, 길상사에서는 예불을 할 때, 우리말로 된 천수경으로 예불을 올리고 대개 예불의식을 우리말로 집전한다. 젊은 법정 스님 깨달음이 수많은 이들에게 어렵다고 여겨지던 불교가 쉽사리 생활 속 깊이 들어와 자리 잡게 했다.

석가모니 부처님과 법정 스님이 당신들이 익숙하게 몸에 배어 있는 쓰던 말을 버리고 누구라도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말씀을 전했다. ‘뺄셈’ 그것은 어느 것보다 아름다운 빼기였다. 모든 이들이 내 방식을 고수하고 내 말을 들으라고 외쳐댈 때, 석가모니 부처님을 비롯한 법정 스님, 그리고 수많은 붓다들이 지금도 세상 곳곳에서 네 방식, 네 말로 중생 귀를 열게 하고 눈을 뜨게 하고 있다.


*출처 : <맑고 향기롭게>(2020)